영공의공책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영공의공책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4)
    • JAVA (42)
      • JAVA basic (6)
      • Spring (33)
      • Mybatis (2)
      • DB connection (1)
    • FRONT (2)
      • Javascript & JQuery (5)
    • DB (3)
    • NETWORK (22)
      • AWS (9)
      • docker & 쿠버네티스 (6)
      • Infra (7)
    • Project (6)
      • Team (2)
      • Android (2)
      • 개인 (2)
    • Design (4)
홈태그방명록
  • JAVA 42
    • JAVA basic 6
    • Spring 33
    • Mybatis 2
    • DB connection 1
  • FRONT 2
    • Javascript & JQuery 5
  • DB 3
  • NETWORK 22
    • AWS 9
    • docker & 쿠버네티스 6
    • Infra 7
  • Project 6
    • Team 2
    • Android 2
    • 개인 2
  • Design 4

검색 레이어

영공의공책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NETWORK/Infra

  • 가상 머신에 파일을 복사하고 나타내기

    2021.08.10 by 영공쁘이

  • 가상 머신(우분투 환경)을 만들고 톰캣, 도커 설치하기

    2021.08.10 by 영공쁘이

  • 가상화 2 - Esx/Esxi 설치하기

    2021.08.07 by 영공쁘이

  • 서브넷 마스크 및 호스트, 네트워크 ip

    2021.08.02 by 영공쁘이

  • 가상화 1 (0721)

    2021.08.01 by 영공쁘이

  • 클라우드 컴퓨팅(0719,20)

    2021.08.01 by 영공쁘이

  • Infra (네트워크 환경 구축) - 개요

    2021.08.01 by 영공쁘이

가상 머신에 파일을 복사하고 나타내기

기본 개념 식별자: ip 소켓: ip + port , 유일해야 함(중복 안됨) 포트: 1000이하는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포트 번호 가상 머신(Virtual Box*여기에서는.) 에서 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쳐서 레지스트리를 보는데 그들 중 핵심 명령어 소개 -it : 터미널을 연동해서 일반 쉘을 사용하든 bash하든 독립적인 어플을 핸들링할 수가 있다. -q`: 한 큐에 삭제 가능(한번에 삭제하기) 돌고있는 서비스도 한꺼번에 중지가 가능, 시작하고 스탑하면 바로 날릴 수 있는 용도(임시 컨테이너) curl : 인터넷 웹 서비스를 설치하기 위한 명령어 wget -O- -q 127.0.0.1 포트포워딩 받기 명령어다 ◆ 밑의 핵심: 파일은 동일 컨테이너 상에서는 복사가 안되고 호스트와 컨테이너 간에 복사가..

NETWORK/Infra 2021. 8. 10. 12:52

가상 머신(우분투 환경)을 만들고 톰캣, 도커 설치하기

우분투 환경

NETWORK/Infra 2021. 8. 10. 11:12

가상화 2 - Esx/Esxi 설치하기

ESXi에서는 하드 디스크, SAN LUN, USB 디바이스, SD 카드 또는 메모리에 바로 설치할 수 있다. ESXi는 호스트에서 먼저 시작된다. *NTP(Network Time Protocol) : 컴퓨터 시계를 시간 참조와 동기화하는 데 사용 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토콜 이를 사용하면, 정확한 성능 그래프, 로그 메시지의 정확한 타임스탬프, 가상 머신에 동기화할 소스 마련이 가능해짐

NETWORK/Infra 2021. 8. 7. 13:23

서브넷 마스크 및 호스트, 네트워크 ip

배경: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쓰면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그래서 효율적으로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나눠서 사용한다. 효과: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할 수 있게 만들어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 예) 192.168.0.1/1 /숫자 -> 숫자는 1의 개수(1은 1bit) 호스트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개별적인 IP 주소를 가지는 시스템 네트워크 id : 네트워크 범위를 만들어서 호스트를 관리하는 것 호스트 id : 호스트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 호스트 수를 줄임으로 네트워크 주소의 개수를 늘려 ip부족현상을 해결! 공식: 2의 n제곱 -2 *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특정 장치를 식별하는 값 네트워크 영역은 같아야 하고 호스트 ip만이 다르다.

NETWORK/Infra 2021. 8. 2. 11:38

가상화 1 (0721)

기존에는, 서버 불규칙적 확산, 자원 사용률 저하, 프로비저닝 시간 발생, 번거로운 DR(Disaster Recovery[전산센터 재해 복구 시스템])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가상화를 도입하였다. - 서버 가상화: 하이퍼바이저는 물리적인 머신을 추상화해서 가상 머신 상에서 운영하는 역할을 한다. 각 가상 머신은 OS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가상 머신들을 자원 풀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영 시스템을 구동한다. - 특징 파티셔닝(자원 분할), 격리(장애/보안에 대한 독립), 캡슐화(가상머신의 이동 및 복사), 즉각적인 프로비저닝 - 종류 MS Hyper-V : Host 연결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공 Xen Hypervisor : 여러 가상머신의 CPU 스케쥴링과 메모리 파티셔닝 역할을 한다...

NETWORK/Infra 2021. 8. 1. 21:57

클라우드 컴퓨팅(0719,20)

-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인터넷 상의 DB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 > 그리드 컴퓨팅(인터넷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공유) + 분산 컴퓨팅의 유틸리티 개념(필요할 때마다 사용) 예) 가트너, 포레스터 리서치, 위키피디아, IBM 사용 효과 & 목적: ROI(투자대비 회수 비용) 극대화, TCO(총 소유비용) 절감, 그린 IT를 위함 * 물리적 자원이나 가상화된 자원은 풀로 관리됨(자원을 추상화함) - 모델 * 퍼블릭(사용자 모두), 프라이빗(특정 기업 및 사용자), 커뮤니티 클라우드(목적, 정책, 보안, 규제요구사항 등을 공유) 종류: SaaS, PaaS, IaaS(=HaaS) >> 각각은 리소스를 빌려쓴다. 1) SaaS : 업무 지원을 위한 S..

NETWORK/Infra 2021. 8. 1. 20:52

Infra (네트워크 환경 구축) - 개요

수업 때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개요를 작성하였고 실습한 것을 출력한다. 1. 클라우드 서비스 개념 및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실습하기 클라우드 서비스 -> 서버 가상화 기술 1 -> ESXi 구성 -> 가상 머신 -> vCenter를 이용한 관리 2.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디스크 등 확장 및 관리, 템플릿과 클론을 이용하여 체계 이해하기 가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가상 스토리지 관리(vSphere VMFS관리) -> 템플릿과 클론을 이용한 가상 머신 환경 구축 3. 만들어진 가상 머신을 관리하기 가상 머신 마이그레이션 -> 가상머신 관리(vCenter) -> vApp관리 4. 인프라 엑세스 제어 및 권한 부여하기 엑세스 제어(권한 부여 및 관리) -> 사용자 권한 -> 리소스 풀(경합조건) 5. 인프라 환경 ..

NETWORK/Infra 2021. 8. 1. 19:5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영공의공책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