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공의공책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영공의공책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4)
    • JAVA (42)
      • JAVA basic (6)
      • Spring (33)
      • Mybatis (2)
      • DB connection (1)
    • FRONT (2)
      • Javascript & JQuery (5)
    • DB (3)
    • NETWORK (22)
      • AWS (9)
      • docker & 쿠버네티스 (6)
      • Infra (7)
    • Project (6)
      • Team (2)
      • Android (2)
      • 개인 (2)
    • Design (4)

검색 레이어

영공의공책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esign

  • Github에 폴더 생성

    2021.12.06 by 영공쁘이

  • GIT 2(깃으로부터 파일 다운받기)

    2021.12.06 by 영공쁘이

  • GIT 1 (환경설정 및 데이터 올리기)

    2021.12.06 by 영공쁘이

  • StarUML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만들기

    2021.08.05 by 영공쁘이

Github에 폴더 생성

1. 새로운 파일 만들기 누르기 2. 팀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었음 3. TeamPJ 폴더 안에 임의의 파일로 testfile 만들었음(하나라도 있어야 상위 폴더가 커밋이 됨)

Design 2021. 12. 6. 09:22

GIT 2(깃으로부터 파일 다운받기)

1) cmd 창으로 fresehman(freshman오타입니다) 폴더로 복제하기(올렸던 프로젝트의 깃을 복제) 2) 아래와 같이 타이핑하면 다운받은 것을 visual studio code로 볼 수 있다. 2**) 팀 프로젝트 할 때는, git bash를 이용하여 파일들을 다운받고자 하는 폴더에 작업했습니다. 3**) pull origin master 실행(master는 팀 내에서 실행했기때문에 최종 저장 위치가 master가 되는 것) 3) 보통일 경우 git checkout -b fresehman 그러면, fresehman의 공간을 만들어준거고 여기서 아무리 코드 수정해도 마스터에는 영향이 안 감 여기서 push 하면 상관없음! ** 주의점 ** pull origin master하기 전에, 먼저 수정 ..

Design 2021. 12. 6. 09:06

GIT 1 (환경설정 및 데이터 올리기)

GIT: 현재 사용하고 있는 코드를 인터넷 상에 올리기 위해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것 github에 가입하고 -> git을 설치(git bash) 1. Git bash 터미널에 환경설정하기 1) 유저 이름 저장 2) 유저 이메일 저장 2. 프로젝트 올리기 1) 맨 처음에 프로젝트 올릴 때는, git init 해주기! 2) 전부 다 올리기(파일들) git add . git add . -> (.)은 모든 파일을 추가하겠다는 의미/ 어떤 파일들을 올릴지 추려보겠다는 의미 만약, 특정 파일만 올리고 싶으면! git add "파일 이름" 3) 히스토리 만들기(버전 관리 느낌) git commit -m "first commit" 4) 연결고리 만들기(깃과 현재 내 컴퓨터의 프로젝트 폴더) git remote ad..

Design 2021. 12. 6. 08:32

StarUML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만들기

프로젝트 구현에 앞서, 먼저 프로그램의 아키텍처를 세우는 과정에서 가시적으로 표현하기위해 여러 도구를 이용합니다. 그 중 하나는, staruml인데, uml자체는 통합 모델링언어를 가리킨다. 현재까지 진행된 프로젝트 형태는, 주제: 회원등록을 하여 로그인한 사람들은 게시물을 등록하고 볼 수 있다. 첫번째 :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등록부터 게시물 관리까지 함 두번째 : 모델링2를 적용하여 요구 처리 부분과 출력 부분으로 나눠서 진행함(업무 처리: 동작 구현, 출력(뷰): 결과 출력) 세번째 : 메이븐을 적용하여 두번째와 같은 형태(처리와 출력 나누기)! maven이나 Dynamic 프로젝트나 같은 동작을 하고, 구성만 다른 형태임 두번째, 세번째는, forward를 이용하여 실제로 데이터를 넘길 때, 처리 ..

Design 2021. 8. 5. 09:2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영공의공책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