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수업 때 aws를 이용한 인프라 환경을 구축하는 실습을 하였습니다. 그러면서 가장 기초가 되는 가상화 이론부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난 후의 부하를 분산함으로써 고가용성을 실현하는 목적이 담긴 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수업 자체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웹&앱 개발 프로그램이어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실제로는 웹을 AWS로 만들어서 배포를 했습니다.
실제로 배포된 화면을 카카오톡에서 열어본 결과입니다. 팀원과 같이 한 결과입니다.
AWS를 이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수행했습니다.
1. EC2 instance 생성
2. putty에서 탄력적 ip로 서버를 연결하여 EC2에 접속한다
Connection 항목의 SSH 더보기 버튼 클릭하고 Auth -> Private key file for aythentication 란의 Browse 클릭한 후에
ppk 확장자로 만든 페어 키 열기 클릭
3. 연결이 되면 cmd창이 나와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4. 톰캣을 설치한다(당시 나는, 버전 8을 설치할 수 없어서 9로 설치함)
5. 이제는 탄력적 ip를 연결하여 톰캣 설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
6. github(팀프로젝트가 git에 있었습니다)에 배포할 war 파일 업로드, filezilla 로도 가능하다(당시 저는 파일질라로 시도했습니다) -> war file을 톰캣 서버로 옮깁니다.
7. mysql 설치하기(유저를 만들고 해당 db를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8. 자바 버전 바꾸기(기본: 11.0.11인데 개발했던 환경은 1.8 버전이었습니다. 그래서 바꿔야 합니다.)
자바버전 바꾸기
참고사이트 : https://freedeveloper.tistory.com/347
다운로드, jdk8버전이 apt 에 없을 때, 자바환경설정
참고사이트 : https://chucoding.tistory.com/54
9. tomcat Encoding(utf-8로 한다) 그리고 url 경로 바꾸기를 수행
위와 같은 과정을 하면서 aws로 웹 배포를 할 수 있었습니다.
♣ 실제로 운용한 캡처본을 만들었으나 삭제되어서 일단은 순서로 대체를 하였고 다시 업로드를 하겠습니다. ♣
VPC 실습 (0) | 2021.12.02 |
---|---|
VPC(Virtual Private Cloud) (0) | 2021.12.02 |
S3 서비스 실습 (0) | 2021.12.01 |
S3 서비스(Amazon S3, S3 Glacier) 개념 (0) | 2021.12.01 |
EC2 인스턴스 설치 + EBS(Elastic Block Storage) 실습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