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 위에 container를 만드는데, 지금은 nginx의 컨테이너를 만든 것(이 위에 앱을 올려서 사용할 수 있게 함)
지금, expose해서, 현재 컨테이너를 외부 부하 분산기로 만들었는데, 이는 리전(영역)을 나중에 여러 곳에서 사용할 시, 서비스에 대한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Load balancing한 것이다. -> 웹 서비스를 연동한 것!
순서
1. nginx 깔고, 로드 분산 시키기
2. 가상 머신으로 가서 컨테이너에 대한 설정 만들기
이후, sudo vim main.go를 통해 가상 머신에 올릴 go언어에 대한 설치하기*그리고 Esc + shift + ; + w + q 하면
설정하던 내용이 저장되고 나오겠다는 의미
도커의 컨테이너 개념 = 쿠버네티스에서는 pod이다.
이 다음은, 가상 앱을 깔고 나서 도커 서버 파일 올리기
쿠버네티스 시작(마스터 및 워커 생성) (0) | 2021.08.12 |
---|---|
쿠버네티스 시작하기 (0) | 2021.08.12 |
도커와 쿠버네티스(2) (0) | 2021.08.10 |
도커와 쿠버네티스(1) (0) | 2021.08.09 |
Docker 설치 및 연결(0510) (0) | 2021.08.05 |